1. 기일 "기일"은 어떤 행위가 행해지거나 어떤 사실이 생기게 될 일정한 시점이나 시기(변론기일ㆍ공판기일 등)를 말한다. 즉, 특정한 날로 예로 재판이 정해진 날을 말한다. 2. 기한 “기한”은 어떤 법률의 효력이 언제부터 발생한다든지 언제까지 효력을 가진다고 하는 것과 같이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시기나 소멸하는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납부기한’, ‘제출기한’과 같이 종점만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기한’으로 쓴다. 3. 기간 “기간”은 어느 일정한 시기부터 다른 일정한 시기까지의 사이를 뜻하는 말로 시간적인 간격을 표시하는 용어이다. 즉 ‘허가기간’, ‘면허기간’ 같이 어떠한 행위가 행해지거나 사실이 발생하는 시점과 종점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기간’으로 쓴다. 그 기간을 늘리거나 ..
정의ㆍ 개념ㆍ 의미ㆍ의의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단어다. 그러나 그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쓰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사전(표준대국어 사전) 측면 정의(定義):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명백히 밝혀 규정함 또는 그 뜻을 말한다. 논리 개념이 속하는 가장 가까운 유(類)를 들어 그것이 체계 가운데 차지하는 위치를 밝히고 다시 종차(種差)를 들어 그 개념과 등위(等位)의 개념에서 구별하는 일. ‘사람은 이성적(理性的)인 동물이다.’와 같이, 판명하려는 개념을 주어로 하고 종차와 최근류(最近類)를 객어로 하는 판단으로써 성립한다. 개념(槪念):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말한다. 사회 과학 분야에서, 구체적인 사회적 사실들에서 귀납하여 일반화한 추상적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문 1. '設立年度, 一次年度' 등을 두음 법칙에 맞게 적으려면 '년도'로 적어야 하는지, '연도'로 적어야 하는지? ○ '설립연도', '일차연도'가 맞습니다. ○ 《한글 맞춤법》제10 항에는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여, 요, 유, 이'로 적고, 단어의 첫머리가 아닐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新女性, 空念佛, 男尊女卑'와 같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는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신여성, 공염불, 남존여비'로 적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設立年度, 一次年度'는 각각 '設立+年度, 一次+年度'의 구조로 분석되는 합성어이기 때문에 '설립연도, 일차연도'로 적어야 옳습니다. ○ ..
- Total
- Today
- Yesterday